본문 바로가기

Anything

리눅스에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 구축하기

이번에는 리눅스에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군요. 제가 써본 결과, 윈도우즈 환경에서보다 더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 같네요. 윈도우즈 환경에서의 Android Studio는 Intel HAAX를 가상머신 가속 지원으로 활용하는데, 리눅스 환경에서는 리눅스 자체의 KVM을 가속 지원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에뮬레이터, 좀 더 빠른 개발 환경을 보장할 수 있지요.


일단 안드로이드 개발킷을 다운받으러 가봅시다. 여기를 누르시면 바로 이동합니다.


약 480MB 정도 되는 크기고, 저희 집에서는 약 2분 정도면 다 받아지는군요. 저 파란 버튼을 누르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매뉴얼이 뜹니다. 여기를 누르시면 바로 볼 수 있습니다.

Install Android Studio


Setting up Android Studio takes just a few clicks. (You should have already downloaded Android Studio.)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셋팅하는 과정은 그냥 몇번정도 클릭만 하시면 됩니다.  (여러분이 이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받으셨다면요)


To install Android Studio on Linux, proceed as follows: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리눅스에 설치하는 건 아래 과정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1. Unpack the .zip file you downloaded to an appropriate location for your applications, such as within /usr/local/ for your user profile, or /opt/ for shared users.

여러분이 다운받으신 .zip 파일을 풀어서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옮기시면 됩니다. 사용자 프로필 전용으로 하려면 /usr/local 디렉터리 안이나,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려면 /opt 디렉터리 같은 곳에 말이지요.


2. To launch Android Studio, open a terminal, navigate to the android-studio/bin/ directory, and execute studio.sh.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하려면 터미널을 열고, android-studio/bin 디렉터리로 이동하셔서 studio.sh를 실행하세요.


3. Select whether you want to import previous Android Studio settings or not, then click OK.

이전에 쓰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정을 임포트하길 원한다면 그걸 선택하시고, 아니라면 그냥 OK를 누르세요.


4. The Android Studio Setup Wizard guides you though the rest of the setup, which includes downloading Android SDK components that are required for development.

안드로이드 설치 마법사는 여러분이 개발에 필요한 안드로이드 SDK 구성요소를 다운로드 받는 등의 설치 과정을 가이드 해줄겁니다. 


Tip: To make Android Studio available in your list of applications, select Tools > Create Desktop Entry from the Android Studio menu bar.

팁: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여러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뜰 수 있게 하려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메뉴바에서 Tools > Create Desktop Entry를 누르시면 됩니다.


Required libraries for 64-bit machines:

64비트 PC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If you are running a 64-bit version of Ubuntu, you need to install some 32-bit libraries with the following command:

여러분이 64비트 우분투를 쓰고 계시다면, 여러분은 아래 명령으로 일부 32비트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c6:i386 libncurses5:i386 libstdc++6:i386 lib32z1 libbz2-1.0:i386


If you are running 64-bit Fedora, the command is:

여러분이 64비트 페도라 코어 리눅스(또는 RHEL 계열을 포함함)를 쓰고 계시다면 아래 명령입니다.

sudo yum install zlib.i686 ncurses-libs.i686 bzip2-libs.i686

저는 다운받은 zip파일을 /tmp로 옮겨서 풀고 /opt에다가 옮겨줬습니다. 아래를 보시죠.

이렇게요.

1. 다운받은 zip 파일 /tmp로 옮겨서 풀기

jaehoon@jaehoon ~ $ mv android-studio-ide-xxx.xxxxx-linux.zip /tmp

jaehoon@jaehoon ~ $ unzip android-studio-ide-xxx.xxxxx-linux.zip


2. 풀린 android-studio 디렉터리를 /opt로 옮겨주기

jaehoon@jaehoon ~ $ sudo mv android-studio /opt

jaehoon@jaehoon ~ $ cd /opt


3. 옮긴 것들 소유자, 그룹을 root로 바꿔주기

jaehoon@jaehoon ~ $ sudo chown root android-studio -R

jaehoon@jaehoon ~ $ sudo chgrp root android-studio -R

이렇게 해주면 설치가 끝났습니다. 리눅스 미트 "메뉴"에 우클릭을 한 후 "설정"을 눌러서 설정 패널을 열어줍니다. 그리고 나서 "메뉴" 탭으로 이동해서 메뉴 편집기를 열어줍시다.

메뉴 편집기를 열면 아래 화면이 뜰겁니다.

이렇게요. 여기서 "개발" 메뉴를 선택하시고 "새 항목"을 누릅니다. 잠깐 터미널로 돌아가서 경로를 확인해 봅시다.

여기서 메뉴얼에 따르면 studio.sh가 실행할 때인 것 같고, studio.png는 확인해 보니 아이콘이었습니다. 이제 등록해봅시다.

이렇게 입력을 하고, 좌측에 로켓을 눌러서 아이콘 경로를 /opt/android-studio/bin/studio.png 를 선택해 줍시다! 그러면 깔끔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아이콘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렇게 다 했으면 확인을 눌러서 메뉴 편집기를 보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추가됬지요.

이렇게요! 허헣... 근데, 아직 32비트 라이브러리들을 안깔았지요. 깔아줍시다. 설치 메뉴얼에 나온대로 아래 명령을 칩니다.

jaehoon@jaehoon ~ $ sudo apt-get install libc6:i386 libncurses5:i386 libstdc++6:i386 lib32z1 libbz2-1.0:i386

이제 완전히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러고 나서 만든 메뉴 아이템을 눌러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시키면 됩니다. 맨처음 실행하면 아래처럼 설정을 임포트할꺼냐고 물어봅니다.

그냥 OK를 눌러서 다음단계로 넘어갑니다. 그리고나서 본격적으로 설치를 하게 됩니다.

여기서 Custom을 눌러야 합니다. 스킨을 바꾸기 위해섭니다. 안그러면 시스템 테마와 개별로 놀게 되지요.

GTK+를 눌러주도록 하세요. 그러면 리눅스 민트 테마와 잘 어울리는 모양으로 뜨게 될거에요. 시스템 테마를 바꿔주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도 그에 맞춰서 바뀌게 될겁니다. 뭐, 이후 작업은 "Next"만 연타해주면 되는 것들이라 생략합니다. 그리고 이후의 설치과정은 윈도우즈와 완전히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KVM 지원을 받는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는 약 5 ~ 12초 정도면(PC 사양마다 다릅니다) 뜨는군요. 만족스럽습니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했을 때 일부 폰트 문제가 있는데, 이건 안드로이드 Fonts.xml이라고 검색하면 많은 자료가 있을 겁니다. 그걸 알맞게 바꿔주시면 되겠습니다. (에뮬레이터에서는 이상없이 표시됨) - P.S. 맨 밑에 해결법도 붙혀놨습니다.


최초 프로젝트 생성시에는 조금 느립니다. 이후에는 빨라지지요. (Graddle 때문에 느립니다)


완벽하게 동작합니다. 굳!


P.S. 비주얼 디자이너에서 한글 출력 문제 해결법.

jaehoon@jaehoon ~ $ sudo nano /opt/android-studio/plugins/android/lib/layoutlib/data/fonts/fonts.xml

여기서 Ctrl + W 누르시고 lang="ko" 입력후 엔터치면 나옵니다. 그 줄을 저렇게 바꿔주시면 되겠습니다. 혹시 모르니까 Ctrl + K 누르시고 Ctrl + U 두번 누르신 후 밑에껄 주석처리 해주시고, 위에껄 NanumGothic.ttf를 가르키도록 만들어주시면 됩니다.